맨위로가기

탐진 최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탐진 최씨는 최사전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최사전은 고려 시대에 공을 세워 문하시랑평장사까지 올랐다. 탐진 최씨는 중서령공파, 효종공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뉘며, 최상, 최부 등 고려와 조선 시대의 인물을 배출했다. 무양서원이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등 여러 지역에 집성촌이 있다. 2015년에는 탐진 최씨와 강진 최씨를 합하여 총 92,341명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탐진 최씨 - 최민호 (1956년)
    최민호는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과 졸업 후 여러 대학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행정고시 합격 후 다양한 요직을 거쳐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국무총리 비서실장을 역임한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이며, 현재 제4대 세종특별자치시장 및 대한민국특별자치시도협의회 초대 공동회장을 맡고 있다.
  • 탐진 최씨 - 최성 (1963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성은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 후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상임연구원 등을 거쳐 제17대 국회의원과 고양시장을 두 차례 역임했으며, 남북교류협력, 지역경제 활성화, 사회적 약자 보호 등에 주력했다.
탐진 최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탐진 최씨
耽津崔氏
나라한국
관향전라남도 강진군
시조최사전(崔思全)
집성촌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동
전라남도 여수시
전라남도 강진군
전라남도 나주시
전라남도 담양군
전라남도 영암군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임피면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북도 단양군
충청북도 옥천군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주요 인물최상
최부
최홍전
최흥종
최은희
최정기
최길선
최순식
최장현
최민호
최성
최영호
최은식
최후식
년도2015
인구92,341명

2. 역사

탐진 최씨 시조 '''최사전'''(崔思全, 1067년 ~ 1139년)은 고려 때 상약원직장(尙藥院直長)을 지낸 최철(崔哲)의 손자이자 장작감(將作監)을 지낸 최정(崔靖)의 아들이다. 최사전은 의술로 조정에 진출했으나 고려 인종 때 이자겸을 제거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었고,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낸 후 삼한후벽상공신(三韓後壁上功臣)으로 수태위(守太尉),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올랐다.[1]

최사전의 아들 최변(崔弁)과 최열(崔烈) 이후의 기록은 전란으로 소실되어 각 파 중시조들의 세거지를 따서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2. 1. 시조 및 고려 시대

탐진 최씨(耽津崔氏)의 시조(始祖)인 '''최사전'''(崔思全, 1067년 ~ 1139년)은 고려 때 상약원직장(尙藥院直長)을 역임한 최철(崔哲)의 손자이며, 장작감(將作監)을 역임한 최정(崔靖)의 아들이다. 최사전은 의술로 조정에 진출하였으나 고려 인종 때 이자겸을 제거한 공을 인정받아 공신에 책록되었고,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낸 후 삼한후벽상공신(三韓後壁上功臣)으로 수태위(守太尉),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올랐다.[1]

최사전의 아들 최변(崔弁)과 최열(崔烈) 이후의 기록이 전란에 실전되어 각 파 중시조들의 세거지를 따서 그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2. 2. 고려 시대 주요 인물


  • 최상(崔尙) : 1035년(고려 정종 1년) 과거에 급제하여 1056년(문종 10) 예부낭중으로 칠도순무사(七道巡撫使)로 파견되었다. 1068년(문종 22년)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에 이르렀다.[2]
  • 최부(崔溥, 1454년 ~ 1504년) : 1482년 친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전적(典籍)으로 있을 때 《동국통감(東國通鑑)》 편찬에 참여하였다. 1486년 문과중시에 아원(亞元)으로 급제하여 사헌부감찰·홍문관 부교리 등을 지냈다. 1487년 추쇄경차관으로 제주에 갔다가 이듬해 부친상을 당해 돌아오던 중 풍랑으로 명나라 태주부 임해현에 표류했다. 반년 만에 한양에 돌아와 왕명을 받고 《표해록(漂海錄)》을 저술하였다.
  • 최학령 : 휘는 학령(鶴齡), 자는 운로(雲老), 호는 율정(栗亭)이며, 중조 진사 효로공(孝老公)의 고손이다.

3. 분파

파명(派名)시조(始祖)분파(分派)
중서령공파(中書令公派)최응규(崔應奎, 6세)화성파(華城派)
효종공파(孝宗公派)최효종(崔孝宗, 14세)
부호군공파(副護軍公派)최효충(崔孝忠, 14세)신리파(莘里派)
도정공파(都正公派)최효원(崔孝源, 14세)삼괴파(三槐派)
만호공파(萬戶公派)최임회(崔臨淮, 12세)신평파(新平派)
임한공파(臨漢公派)최임한(崔臨漢, 12세)양성파(陽城派)
정민공파(貞愍公派)최결(崔潔, 11세)고양파(高揚派)
화천공파(華川公派)최용지(崔龍阯, 9세)화천파(華川派)
봉산공파(鳳山公派)최원길(崔原吉, 8세)봉산파(鳳山派)
강진진사공파(康津進士公派)최준량(崔浚良, 6세)강진금천파(康津錦川派)
광주천곡파(光州泉谷派)최침(崔沈, 12세)천곡파(泉谷派)
곡성죽곡파(谷城竹谷派)최이복(崔以福, 19세)죽곡파(竹谷派)
강진항동파(康津巷洞派)최석조(崔碩祚, 12세)강진대구파(康津大口派)
강진매산파(康津梅山派)최봉시(崔奉時, 12세)강진성동파(康津城東派)
진사공파(進士公派)최효로(崔孝老, 중조 1세)만경파(萬頃派)
보성영암군파(寶城靈巖君派)최총(崔聰, 중조 1세)보성조내(輔成兆內)
광주손암파(光州遜菴派)최윤덕(崔允德, 중조 1세)광주성서파(光州城西派)
광주보작파(光州洑作派)최홍건(崔弘建, 중조 1세)보작파(洑作派)
광주서은파(光州西隱派)최민상(崔黽祥, 중조 1세)광주서외파(光州西外派)


4. 조선시대 주요 인물


  • 최부(1454년 ~ 1504년) : 1482년(성종 13년) 친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홍문관 부교리 등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전적(典籍)으로 있을 때 《동국통감》 편찬에 참여하였다. 1486년 문과중시에 아원(亞元)으로 급제하여 사헌부감찰·홍문관 부교리 등을 지냈다. 1487년 추쇄경차관으로 제주에 갔다가 이듬해 부친상을 당해 돌아오던 중 풍랑으로 명나라 태주부(台州府) 임해현(臨海縣)에 표류했다. 반년 만에 한양에 돌아와 왕명을 받고 《표해록》을 저술하였다.[2]
  • 최학령 : 자는 운로(雲老), 호는 율정(栗亭)이며, 중조 진사 효로공(孝老公)의 고손이다.

5. 항렬자

강진금천파 항렬표
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
상(相)환(煥)기(基)석(錫)영(永)술(述)용(容)균(均)태(兌)수(洙)병(秉)걸(杰)재(在)진(鎭)순(淳)식(植)형(炯)평(坪)



윤덕파 항렬표
16세17세18세19세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
병(秉)섭(燮)시(時)진(鎭)낙(洛)식(植)일(日)돈(墩)용(鎔)해(海)근(根)열(烈)



항렬자는 2016년에 발간된 탐진최씨 진사공파 병신보(炳申譜)를 참조하였다.[1]

6. 과거 급제자

문과
최상, 최병룡(崔炳龍), 최부, 최사물(崔四勿), 최신(崔信), 최재철(崔在澈), 최홍전(崔弘甸), 최홍(泓)



무과
최귀석(崔貴碩), 최길선(崔吉善), 최대립(崔大立), 최대영(崔大英), 최대항(崔大恒), 최덕립(崔德立), 최덕보(崔德福), 최덕중(崔德重), 최덕훈(崔德勳), 최동문(崔東文), 최두극(崔斗極), 최발(崔), 최복원(崔復原), 최빈(崔濱), 최상륜(崔尙崙), 최상악(崔相岳), 최석륜(崔碩崙), 최선립(崔善立), 최세기(崔世機), 최세익(崔世益), 최수천(崔壽天), 최승현(崔承賢), 최여곤(崔汝崑), 최여준(崔汝峻), 최여태(崔如台), 최영걸(崔英傑), 최용(崔勇), 최원립(崔元立), 최유림(崔有霖), 최지천(崔至天), 최진익(崔振翼), 최찬경(崔纘慶), 최창술(崔昌述), 최충신(崔忠信), 최치운(崔致雲), 최탁(崔琢), 최태제(崔泰齊), 최필영(崔弼榮), 최한(崔漢), 최호중(崔好重), 최화제(崔華齊), 최후립(崔厚立), 최후진(崔厚鎭), 최사물(崔四勿)



생원시
최경기(崔景驥), 최대현(崔大顯), 최부, 최석춘(崔錫春), 최억첨(崔億瞻), 최언호(崔彦虎), 최익중(崔翼中), 최정연(崔挺然), 최준학(崔儁學), 최직량(崔直良), 최청(崔淸), 최치영(崔致永), 최태주(崔台柱), 최화(崔俰)



진사시
최극충(崔克忠), 최기룡(崔基龍), 최기종(崔起宗), 최덕준(崔德峻), 최명호(崔明濠), 최병칠(崔炳七), 최부, 최삼성(崔三省), 최영(崔渶), 최윤식(崔允湜), 최윤형(崔閏亨), 최응두(崔應斗), 최재철(崔在澈), 최주(崔澍), 최택(崔澤), 최효로(崔孝老), 최학령(崔鶴齡), 최숙(崔淑)


7. 문화재


  • 무양서원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호이다.
  • 강진 강덕사

8. 집성촌

지역비고
전라남도 영광군 염산면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동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남산리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동호리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임피면 술산리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동진면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노천리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농소리
충청북도 옥천군 동이면 남곡리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사평리
경기도 화성시 우정면 석천리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도림리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덕성리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초동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강운리주평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백호리석호



2000년 지역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9. 인구

연도가구인구
1985년14,609가구61,841명
2000년21,191가구68,127명
2015년92,341명[1]



2015년 인구는 탐진 최씨 89,943명과 강진 최씨 2,398명을 합한 수치이다.[1]

참조

[1] 뉴스 탐진 최씨 http://www.skyedaily[...] 스카이데일리 2017-03-29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최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